7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접시꽃

이미지
접시꽃 (8월 1일) 오늘의 꽃 학 명 Althaea roesea 영 명 Hollyhock 꽃 말 풍요, 대망 내 용 접시꽃 하면 도종환님의 '접시꽃 당신'이 생각난다. 줄기나 잎에 비해 꽃이 아주 크고 활짝핀 모습도 참으로 아름답다. 꽃도 빨간색, 흰색 등 다양하며 시골 길가에서 쉽게 군락을 이루며 자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용 정원의 경계부분이나 토담 밑, 바닥이 흙인 시골 길가 등에서 잘 어울린다. 꽃대가 곧아 집안에서 꽃꽂이용으로 써도 좋을 듯 싶다. 기르기 접시꽃은 대부분 일이년생이라 주로 씨앗으로 번식한다. 여름철에 꽃을 보려면 전년도 늦여름에 씨앗을 뿌려야 한다. 비교적 저온 발아성이라 15℃에서 잘 발아된다. 잎이 몇장 나온다음 겨울을 나고 봄에 온도가 올라가면서 본격적으로 자라기 시작한다. 접시꽃은 아무데서나 잘 자라지만 거름끼가 충분하고 물기가 많으며 배수가 잘되고 햇볕이 잘드는 곳에서 더 잘자란다. 자생지 아욱과에 속하는 식물로 중국 원산이지만 세계적으로 약 12종이 자생하고 있다. 유럽 서부나 중앙 아시아지역의 다소 습한 곳에 흔히 분포한다. 꽃 모양이 여러가지지만 현재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것은 큰 접시꽃이다.

토끼풀

이미지
토끼풀 (7월 31일) 오늘의 꽃 학 명 Trifolium spp. 영 명 Clover 꽃 말 희망이 이뤄짐, 행운 내 용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네잎크로버, 잔디밭에서는 골치아픈 존재지만 사람들에게 희망, 행운 등 긍정적인 의미를 주는 식물이다. 이 용 보통은 잡초로 취급되어 밭농사 짓는 농부들을 괴롭힌다. 하지만 잡초의 개념은 이렇다. 잔디밭에 토끼풀이 나 있으면 토끼풀이 잡초지만 토끼풀 밭에 잔디가 나 있으면 잔디가 잡초다. 즉 이용목적이 뭐냐에 따라 보는 게 달라진다는 얘기다. 기르기 한 두포기만 있으면 줄기가 땅위로 벋으며 아주 잘 번진다. 제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번식이 강하다. 특히 잔디밭에서 잘 자란다. 자생지 크로버는 영명이고 우리말로는 토끼풀이다. 토끼풀류는 우리나라에 붉은토끼풀, 달구지풀, 토끼풀의 세 종류가 있는데, 달구지풀을 빼곤 우리 자생종은 아니고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귀화된 것들이다.

해오라비난초

이미지
해오라비난초 (7월 30일) 오늘의 꽃 학 명 Habenaria radiata 영 명 White-egret flower 꽃 말 꿈에서라도 만나고 싶다. 내 용 야생화 작품사진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꽃이 아닌가 싶다. 한 여름 피는 꽃 모양이 영락없는 한 마리의 새를 닮았다. 꽃말처럼 이런 정도의 아름다움이라면 꿈에서라도 만나고 싶다. 이 용 소형 고급 분화용으로도 쓰인다. 화단에 심으려면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심고 꽃대가 나오기 시작하면 반그늘 지게 해 준다. 기르기 땅속에서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며 끝에 뿌리줄기가 달린다. 가을에 이 뿌리줄기를 떼어 이끼나 수태, 톱밥 같이 흡습이나 보습이 좋은 배지에 묻어 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화분에 심는다. 종자를 가을에 따서 뿌리기도 한다. 추위에는 강하지만 더위에는 약하며 반음지성 식물이다. 꽃대가 나오기 전까지는 햇볕이 잘 드는 곳이 좋으며, 꽃대가 나오기 시작하면 30%정도 차광해 주는게 좋다. 자생지 해오라비난초는 난초과에 속하며 지구상에 약 500∼600여종이 분포하는데, 주로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의 열대나 온대지역 초원에서 자생한다.

손주와 놀이터에서

이미지

우엉

이미지
우엉 (7월 29일) 오늘의 꽃 학 명 Arctium lappa 영 명 Edible burdock 꽃 말 인격자 내 용 꽃 모양이 특이해 종종 눈길을 끄는 식물이다. 주로 밭에서 뿌리를 식용하기 위해 기르는 채소다. 얼른 보면 꽃이 엉겅퀴를 닮은 것처럼 보이지만 진한 자주빛이 돌며 잎 모양도 전혀 다르다. 한자명은 牛蒡, 越年草이다. 이 용 우엉은 키가 1.5m 정도로 큰 편이고 꽃이 화훼적 가치가 적어 관상용으로 흔히 재배되진 않는다. 뿌리를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쓴다. 채소용으로는 뿌리로 짱아치를 만들거나 조림을 만들어 먹는다. 뿌리에 이눌린, 팔미트산이 들어있어 이뇨제와 발한제로 쓰인다. 기르기 씨앗으로 번식하는 것이 보통이다. 우엉은 뿌리가 흙 속으로 90∼120cm정도 들어가기 때문에 물 빠짐이 좋고 비옥한 밭이어야 한다. 봄에 뿌린지 60일이 지나면 잎과 줄기가 본격적으로 자라며 90~100일후 최성기(키 150cm)가 된다. 뿌리 비대는 90일부터 시작하여 180~190일에 수확할 수 있을 정도까지 자란다. 여름 장마철 과습에 약해 고온기에 이틀간의 침수에도 뿌리가 썩는다. 한 자리에서 계속 이어짓기하면 선충과 기타병해가 많아 4~5년 간격으로 돌려짓기를 한다. 자생지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으로부터 서부아시아에 이르는 지대로 유럽, 시베리아, 중국동북부에 6종이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상당히 재배되고 있다. 품종으로는 뿌리가 길고 굵은 '농야천'과 육질이 좋고 뿌리가 짧은 '사천' 등이 있다.

꽃양귀비

이미지
꽃양귀비 (7월 28일) 오늘의 꽃 학명 학 명 Papaver spp. 영 명 Poppy 꽃 말 위안 내 꽃양 꽃양귀비 하면 먼저 아름다움이 떠오른다. 옛 중국미인에 견줄만큼 꽃이 아름답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꽃말을 왜 위안이라 했는지는 알 수 없다. 양귀비는 아편을 추출하는 약용식물로 더 알려져 있지만 화훼용(California poppy로부터 유래된 종류가 많음) 양귀비도 이젠 식물원 같은 곳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두메양귀비는 백두산에 자생하는데 이제 야생화 농가들이 흔히 재배하여 보급하고 있다. 이 용 꽃양귀비도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꽃은 대부분 화려한 색깔이 많다. 화단에 여러가지 색들을 섞어 심어두면 여름 개화기 동안에 참으로 장관이다. 여름이면 과학원 야생화동산에 연약한 꽃대가 흐느적거리고 수많은 벌이나 곤충들이 오가는 장면이 연상된다. 기르기 다년생인 것들도 있지만 보통은 일년생 또는 이년생으로 봄에 종자를 뿌려서 기른다. 햇볕이 잘 드는 양지가 좋으며 물빠짐이 좋고 거름기도 많은 곳이면 생장이 훨씬 좋다. 자생지 세계적으로 약 70종이 분포한다. 일이년생 및 다년생인 것들이 있으나 주로 이년생이다. 유럽 남부와 북부, 아시아 온대지역, 호주 등지의 고산지대 초원에서 자생한다. 꽃색도 흰색, 노랑색, 주황색 등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에는 양귀비, 개양귀비, 두메양귀비, 흰양귀비 등 4종이 재배 또는 자생하고 있다.

싸리

이미지
싸리 (7월 27일) 오늘의 꽃 학 명 Lespedeza spp. 영 명 Bicolored lespedeza 꽃 말 생각 내 용 5월부터 8월하순까지 피는 싸리꽃도 종류가 참 많다. 꽃색도 붉은색, 분홍, 흰색 등 다양하다. 땅비싸리 같이 적은 것은 붉게 피는 꽃도 예쁘지만 5월초부터 나오는 잎 모양이 정결하여 보기좋다. 꽃이나 열매가 콩을 닮은 콩과식물이다. 이 용 싸리 종류는 비교적 추위나 척박지에 강해 어디서든 기를수 있다. 키가 2m정도까지 자라는 것은 생울타리용으로 좋고 키가 작은 것들은 화단 한 부분에 모아심거나 큰 화분에 심어도 보기가 좋다. 산간지대 도로변 경사진 곳 복원을 위해 종종 싸리 종류가 씨앗으로 뿌려진다(seedspray). 기르기 어디서든 잘 자란다. 한 포기 심겨있으면 쉽게 번지며 씨앗이 떨어져서 주변에 잘 퍼진다. 생울타리용은 심을 때 좀 베게 심는 것이 좋다. 줄기들이 나올 때 좀 엉성하게 삐죽삐죽 나오기 때문이다. 자생지 싸리류는 우리나라에도 10여종이 자생하고 있는데, 세계적으로 약 120여종이 아시아 동부와 미 대륙의 북부에 분포하고 있다. 속명의 Lespedeza는 원래 미국 플로리다의 주지사였던 Vincente Manual de Cespedes씨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인데, 인쇄할 때 성씨의 C를 L로 잘못쳐서 붙여진 이름이라니 참 아이러니한 얘기다.

땅채송화

이미지
땅채송화 (7월 26일) 오늘의 꽃 학 명 Sedum oryzifolium 영 명 Stonecrop 꽃 말 씩씩함 내 용 어느 해 여름인가 제주 우도 바닷가, 학회 때 틈내 들른 해안가 식생탐사길, 바위들 틈 여기저기서 노란 꽃을 피우며 군락 이루고 있는 모습이 떠오른다. 키가 크지 않아 바닥에 깔린 노란 카펫을 연상할 정도로 황홀한 모습이었다. 발에 밟혀도 씩씩하게 다시 잘 자란다. 이 용 돌나물 종류 중 가장 추위에 약한 편으로 주로 남부지역에서 화단용으로 쓰인다. 특히 암석정원에 잘 어울리며 바위에 붙여도 좋다. 키가 작아 분경을 만드는 재료로도 쓰인다. 어린 순은 먹기도 한다. 기르기 다른 돌나물 종류처럼 번식은 잘 된다. 봄에 나오는 신초들을 떼어 심으면 100% 새뿌리를 내린다. 한번 심어두면 포기가 점차 커지면서 금새 군락을 이룬다. 키가 10cm 정도로 작으며 줄기는 옆으로 뻗어 많은 가지를 내며 원줄기 윗부분과 가지가 모여 곧게 선다. 10월에 열매 맺는다. 자생지 다육성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갯채송화, 각시기린초, 제주기린초로도 불린다.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주로 자생한다.

법구경 - 세속의 장

이미지

수련

이미지
수련 (7월 25일) 오늘의 꽃 학 명 Nymphaea spp. 영 명 Waterlily 꽃 말 당신의 사랑은 알 수 없습니다. 내 용 얼마나 잠을 많이 자면 수련이라 했을까. 사람은 잘때 눈꺼풀을 덮지만 꽃들은 잘때 꽃잎을 오므린다. 수련은 개화초기에 흐리거나 해가 지면 꽃을 오므리고 해가 뜨면 꽃잎을 연다. 그래서 수련은 잠자는 연으로 '수'가 '물 水'가 아니라 '잠잘 睡'다. 수련 꽃이 아름다운 걸 보면 역시 미인은 잠꾸러기라는 말이 맞나보다. 이 용 수련은 공원이나 가정 연못, 실내 물확같은 곳에 잘 어울린다. 꽃은 7월에 피는데 꽃이 3일간 피었다 닫혔다 반복한다. 꽃이 없어도 잎 모양이 좋아 봄부터 가을까지 즐길수 있으며 작은 항아리에 넣어 베란다 같은 실내공간에서 기르면 겨울 내내 상록으로 관상할 수 있다. 최근에 수생식물들이 조경용으로 많이 쓰이면서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기르기 수련은 연꽃들과 마찬가지로 전형적인 수생식물로 물속에서 씨앗이 발아하여 싹이 난다. 뿌리줄기가 굵고 짧으며 특히 아래 부분에서 뿌리가 많이 나온다. 보통은 이 뿌리줄기를 잘라 증식하는데, 4월이후 온도가 웬만큼 정도 올라갔을 때 한다. 화분은 깊이가 얕고 넓은 것이 좋으며 고운 흙과 완숙퇴비를 잘 섞어 바닥에 채우고 심는다. 자생지 수련의 속명인 Nymphaea는 로마신화 가운데 물의 여신인 Nympha에서 비롯되었다. 원산지는 열대와 온대로써 35-4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수련과 애기수련의 2종이 자생한다.

노랑어리연꽃

이미지
노랑어리연꽃 (7월 24일) 오늘의 꽃 학 명 Nymphoides peltata 영 명 Floating heart 꽃 말 수면의 요정 내 용 어리연꽃 하면 하얀 꽃잎이 앙증맞게 작으면서도 꽃잎(실은 꽃받침) 끝이 어리어리하게 서릿발 내린 것 같은 모습이 떠오른다. 노랑어리연꽃은 어리연꽃보다 꽃이 두배이상 커서 눈에 잘 띤다. 이 용 공원이나 유원지, 가정의 연못에서 쉽게 즐길수 있다. 아파트 같은 곳에서도 돌확이나 항아리 같은 용기에 담아 기르면 된다. 꽃도 아름답지만 잎 모양도 차분하다. 기르기 연못에서 보면 지나칠 정도로 생장이 왕성하다. 연못에 심을 때는 화분 같은 용기에 넣어 길러야 나중에 세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름에 포기를 나눠 심으면 쉽게 번식된다. 자생지 세계 여러나라에 흔히 분포하는 종으로 주로 저수지처럼 물이 있는 고여있는 곳에 20종 정도가 난다. 우리나라에는 꽃이 하얀 어리연꽃, 노랑어리연꽃, 꽃이 아주 작은 좀어리연꽃 3종류가 살고 있다.

센토레아

이미지
오늘의 꽃 센토레아(수레국화) (7월 23일) 오늘의 꽃 학 명 Centaurea cyanus 영 명 Bachelor's buttons, Blue bottle 꽃 말 행복, 섬세, 유쾌 내 용 센토레아는 우리말로 수레국화라고 하는 꽃이다. 꽃이 진한 청색이며 5-6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가을까지 계속 핀다. 화단에 심는 경우도 있지만 그리 흔하지 않고 요즘 새로 난 길 경사면 녹화용으로 종자를 뿌릴 때(seed spray) 종종 섞어 뿌린다. 의왕-과천간 자동차전용도로 경사면에서 청색으로 피어있는 것을 볼수 있다. 이 용 꽃은 진한 청색으로 키가 60cm 내외이다. 도로변 경사지 녹화용으로 흔히 이용된다. 꽃대가 곧고 꽃 달림이 좋아 꽃꽂이용으로도 재배된다. 화단용으로 정원에 모아심기 해도 보기좋다. 꽃이 청색, 분홍색, 노란색, 보라색 등 많은 품종이 나와 있으며 우리나라엔 청색과 분홍색이 주로 쓰인다. 기르기 원예종으로 나오는 품종들은 주로 일년초로써 씨앗을 사다 뿌리면 된다. 절화생산을 목적으로 전문 재배한다면 별도로 육묘 이식하여 재배한다. 화단에서는 햇볕이 잘 들고 물빠짐이 좋은 곳이면 잘 자란다. 건조에도 강한 편이다. 강한 광선은 좋아하지만 원래 저온성식물이라 고온에서는 발아 및 육묘가 어렵다. 자생지 센토레아는 약 450종이 지중해 연안이나 북아프리카 및 북아시아로 주로 북반구의 건조한 곳이나 암석주변에서 발견된다. 우리나라에 퍼져있는 종은 Centaurea cyanus 종에서 유래된 품종들이 많다.

설악초

이미지
설악초 (7월 22일) 오늘의 꽃 학 명 Euphorbia marginata 영 명 Snow on the mountain 꽃 말 환영, 축복 내 용 꽃보다는 하얀 무늬가 줄로 들어있는 잎이나 줄기가 관상 포인트다. 늦여름부터 초가을까지 관상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정결한 느낌을 주는 꽃이다. 이 용 키는 70cm 내외로 크지 않아 화단 어디든 잘 어울린다. 군락으로 심어도 좋고 화단 경계면에 일렬로 심어도 보기 좋다. 암석 틈에 심어도 잘 어울린다. 하얀 무늬모양이 아름답고 줄기도 곧게 자라서 꽃꽂이용으로도 매우 좋은 식물이다. 추위에 강해 전국적으로 심을 수 있으며 우리 생활주변 화단에서 흔히 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이 퍼져있다. 기르기 일년초로써 씨앗으로 번식한다. 정원에 몇 포기 심어두면 씨앗이 떨어져 나와 자연스럽게 번진다. 그늘은 싫어한다. 햇볕이 잘 들고 물 빠짐이 좋으면 잘 자란다. 자생지 대극과에 속하는 식물로 우리나라에도 대극류가 남부지역이나 해안가에 몇종 자생한다. Euphorbia속 식물은 대단히 하부구조가 많은 식물로써 지구상에 2000종 이상 분포하고 있다. 주로 상록 또는 반상록성의 일·이년초이며, 덩굴성, 목본성인 것도 많다. 온대, 아열대, 열대지방을 중심으로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

술패랭이

이미지
술패랭이 (7월 21일) 오늘의 꽃 학 명Dianthus spp. 영 명Carnation 꽃 말 무욕, 평정 내 용 한 여름 분홍색으로 화려하게 꽃을 피운다. 패랭이꽃은 꽃대도 곧고 포기형태를 잘 나타내지만 술패랭이는 꽃대가 그리 강하지 않아 곧잘 쓰러지곤 한다. 하지만 향기는 술패랭이꽃이 훨씬 좋다. 이 용 도로변 화단이나 정원에 여름철 관상용으로 많이 쓰인다. 패랭이꽃은 포기를 잘 형성하며 어느 정도 군락을 이루지만 술패랭이꽃은 드문드문 자란다. 패랭이꽃 종류는 포기가 오래 묵으면 포기 가운데 부분은 말라 고사되고 방석처럼 자꾸 옆으로 새 줄기가 퍼진다. 술패랭이꽃은 향기가 워낙 좋아 꽃꽂이용으로도 훌륭한 소재이다. 기르기 씨앗으로 잘 번식한다. 꽃이 진뒤 그 자리에 긴 꼬투리가 달리는데 씨앗이 충분히 여물면 검은 색을 띠므로 이때 딴다. 바로 뿌려서 추위가 오기 전에 어느정도 키우면 이듬해 여름에 꽃을 볼 수 있다. 봄에 새로 나온 작은 포기를 잘라 꽂으면 거의 뿌리 내린다. 추위나 건조에 강하며 15∼20℃정도의 온도에서 잘 자란다. 초여름부터 꽃을 관상하기 위해서는 7월이후 뿌려 묘를 기른다음 9월초순 정식하면 된다. 자생지 어버이날이나 스승의날 많이 쓰이는 카네이션도 석죽과 식물로서 이들의 조상은 패랭이 종류이다. 패랭이류는 전 세계적으로 약 300여종이 분포하고 있는데, 유럽,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의 낮은 산이나 평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수염패랭이꽃, 패랭이꽃, 갯패랭이꽃, 난쟁이패랭이꽃, 술패랭이꽃과 키가 작은 왜성술패랭이 등 5종 1변종이 자생하고 있다.

술에 대한 한 말씀

이미지

만병초

이미지
만병초 (7월 20일) 오늘의 꽃 학 명 Short-fruit rosebay, Fujiyama rhododendron 영 명 Rhododendron brachycarpum 꽃 말 위엄, 존엄 내 용 한 여름이면 백두산 천지 주변에 노랑만병초가 바닥에 착 붙어 지천으로 피어난다. 몇해전 요맘때 가보았으니 지금이 한창일 것 같다. 만병초는 노랑만병초와 달리 키가 4m까지 자란다. 지리산이나 울릉도 성인봉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이 용 음지에서 잘 견디고 추위에도 강해 정원이나 공원용으로 우수하다. 공해에는 약해 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변에 심기는 어렵다. 萬病草라는 한자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잎은 거풍, 진통, 이뇨 등의 약용으로 쓰인다. 기르기 꽃은 7월에 흰색 또는 연한 황색으로 피는데 열매는 9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를 받아 가을에 바로 뿌리거나 말린 상태로 저장해 두었다가 봄에 뿌려도 된다. 장마철에 새로 나온 가지를 잘라 삽목하여 번식하기도 한다. 만병초는 생장속도가 매우 느리다. 자생지 Rhododenron속에 속하는 식물은 대가족이다. 지구상에 약 500∼900종이 있는데, 유럽, 호주, 북미, 아시아(주로 중국 남동부), 티벳, 버마, 뉴기니아 등 열대부터 온대에 이르기까지 고루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만병초, 백두산에 나는 노랑만병초, 황산차, 상록성인 꼬리진달래(참꽃나무겨우살이), 제주도와 금강산에 나는 산진달래, 전국 산야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진달래(종류가 많음, 흰진달래, 털진달래, 왕진달래, 반들진달래, 한라산진달래)", 그 외 흰참꽃, 산철쭉, 참꽃나무(여기서 유래된 털참꽃나무), 철쭉꽃(여기서 유래된 흰참꽃), 좀참꽃 등 18 종이 자생하고 있다. 이처럼 철쭉류도 우리 땅에만 20종 가까이나 자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용되고 있는 종들이 대부분 일본에서 개량된 것임을 생각하면 많은 것을 시사해준다. 특히 지금 거의 모든 조경공사에 기본적으로 철쭉류가 들어간다는 것을 생각해...

밀짚꽃

이미지
밀짚꽃 (7월 19일) 오늘의 꽃 학 명 Helichrysum bracteatum 영 명 Strawflower 꽃 말 항상 기억하라 내 용 보통 꽃잎을 만져보면 다소 축축한 습기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 밀집꽃은 전혀 습기를 느낄수 없으며 오히려 종이나 밀짚대를 만지듯 바스락 소리가 난다. 그래서 밀짚꽃이나 종이꽃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 같다. 아는 분한테 묘를 얻어다 화단 앞쪽 볕이 잘 드는 곳에 심었는데 아주 잘 자라더니 꽃도 많이 달려 한번씩 만져보곤 한다. 이 용 꽃은 데이지처럼 생겼으며, 원종은 노랑색이지만 개량된 것들은 핑크색과 붉은색 테두리에 노랑색이 들어 있는 것도 있다. 일부 종은 아로마 향기가 있어 허브로도 이용된다. 암석정원용으로 좋으며, 키가 큰 것들은 화단이나 정원의 경계부 식재용으로 적합하고, 덩굴성인 것들은 행잉용으로 알맞다. 외국에서는 절화용 또는 건조화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기르기 자생지 환경은 매우 건조하고 광선이 잘 드는 곳이다. 화단용으로 기를 때는 씨앗을 뿌려 나온 묘를 구해 햇볕이 잘 드는 양지에 배수가 잘 되는 곳에 심는다. 밤이나 낮에 흐리면 꽃잎을 열지 않으며 그늘이 심한 곳에서도 꽃이 만개되기 어렵다. 자생지 밀짚꽃은 국화과식물로써 원래 Helichrysum bracteatum 종이었으나 종이 다시 속으로 분화되어 Bracteantha bracteata 종으로 재분류되었다. 호주의 초원지에 7종의 일년생 또는 다년생이 분포한다. 식물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자손이 번성하면 새로운 속으로 분류되어 그 종은 계속 번성한다.

미나리

이미지
미나리 (7월 18일) 오늘의 꽃 학 명 Oenanthe javanica 영 명 Water celery 꽃 말 성의 내 용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성에 잘 맞아 즐겨먹는 채소다. 데쳐서 나물은 물론 매운탕이나 다른 요리에 넣어 먹으며 아삭아삭한 맛은 자꾸 손이 가게 한다. 식용도 있지만 잎에 무늬가 들어있는 관상용 미나리도 있으며 실내외 수생정원에 잘 어울린다. 꽃이 한 여름에 피는데 흰색으로 모여 핀다. 이 용 미나리는 줄기와 잎에서 독특한 향기가 나는데, 이들을 따서 나물이나 김치로 만들어 먹으며, 다른 요리에 넣어서도 먹는다. 생잎은 폐렴에 좋으며, 또 미나리 전체를 짓이겨 꿀에 타서 먹으면 황달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연한 잎을 식용으로 쓰는 것이 주 용도이지만 뜰에 조그마한 연못정원을 만들어 심고 관상해도 좋은 식물이다. 기르기 우리나라에도 습지나 냇가에서 흔히 자생한다. 키가 30cm이상 자라는 전형적인 습지식물로 다년초이다. 줄기 아래 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옆으로 뻗는데,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번식한다. 채소용으로 전문 생산할 때는 씨앗을 뿌려 육묘 이식하는 방법을 쓰며 양액재배기술도 잘 확립되어 있다. 정원에서는 물이 정체되어 유지되는 곳이면 얼마든지 기르며 즐길 수 있다. 실내에서 수생분경으로 기를수도 있다. 자생지 미나리류는 약 30여종이 북반구, 남아프리카, 호주의 습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돌미나리(멧미나리)가 자생하며 습지나 논 등 물가에서 재배되고 있다. 관상용으로 실내정원에 흔히 이용되는 것으로 잎에 무늬가 들어있는 '플라밍고'라는 품종이 있다.

무궁화

이미지
무궁화 (7월 17일) 오늘의 꽃 학 명 Hibiscus syriacus 영 명 Rose of sharon 꽃 말 은근, 끈기, 섬세한 아름다움 내 용 나라꽃 무궁화다. 꽃색은 순백색인 것부터 단심, 분홍단심, 홍단심 등 다양하며 복색인 것도 있다. 꽃도 단아한 홑꽃부터 겹꽃, 반겹꽃 등 변이도 많다. 여름내내 꽃을 피운다. 사실 여름철 꽃을 관상할 수 있는 화목류로써 무궁화만한 것도 드물다. 꽃 하나는 수명이 짧지만 꽃대가 계속 나와 두세달 꽃이 계속 핀다. 여름이면 길가에 큰 꽃이 피는 부용이나, 미국부용, 하와이무궁화 등이 모두 히비스커스에 속한다. 이 용 공해에 비교적 강해서인지 전국의 도로변에서 흔히 볼수 있다. 정원수로도 좋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울타리나 경계용으로 많이 쓰인다. 공원이나 자연학습장 같은 곳에서 우리나라의 모양 등 조형수로도 꽤 이용된다. 유럽에서는 여름철 정원수로서 정원 중심부에 관상용 독립수로 심겨진 것을 종종 볼수 있다. 서양에서 히비스커스는 정원용은 물론 분화용으로 인기가 많아 품종개발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기르기 무궁화는 씨앗으로도 번식하고 삽목이나 접목 등으로 번식한다. 씨앗을 플러그트레이에 파종하여 육묘하면 균일한 실생묘를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삽목은 전년도에 나온 가지에서 봄에 신초가 나오기 직전 잘라 꽂으면 쉽게 새뿌리를 내린다. 6-7월 장마철 습도가 높을 때 가지를 잘라 꽂아도 잘 자란다. 병해충에 강한 개체를 얻기위해 접목하기도 한다. 자생지 무궁화를 서양에서는 히비스커스라 하는데 여기에 속하는 식물도 무척 다양하다. 약 200 종 이상이 온대, 열대, 아열대 지역의 강 주변이나 암석 사이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는 자생하고 있는지가 명확치 않은 실정이다.

목화

이미지
목화 (7월 16일) 오늘의 꽃 학 명 Gossypium indicum 영 명 Tree Cotton 꽃 말 어머니의 사랑, 당신은 기품이 높다. 내 용 원래 섬유작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솜을 짜기 위해 목포 등 남부지역에서 예전에 흔히 재배했다. 요즘은 학습용이나 관상용 정도로 허브원이나 토종식물 공원(생태원)에 심겨있는 정도다. 목화의 꽃말은 고향에 가면 언제나 푹 느낄수 있는 어머님의 포근한 사랑과 애틋한 마음을 담고 있다. 이 용 요즘도 목화가 재배되긴 하지만 말리거나 염색해서 꽃꽂이를 한다든지 하는 실내장식용으로 주로 이용된다. 허브샵 같은 곳에 가면 목화솜을 활용한 포푸리 같은 것을 만들어 걸어둔 걸 볼 수 있다. 기르기 목화는 열대원산이라 추위에 매우 약하다. 90년대에는 추위에 비교적 강한 품종이 육성되면서 중부지역에서도 부분적으로 재배된 바 있다. 요즘은 화훼장식재료 확보 차원에서 남부의 노지나 중부의 하우스에서 조금씩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처럼 춥고 서리가 빨리 내리는 곳에서는 가능한 한 빨리 파종하여 생육기간을 최대한 길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화씨앗의 발아온도인 15℃는 남부지역에서 5월 상순이므로 이때 뿌린다. 비닐피복 재배를 하면 25일정도 앞당길 수 있고 생육기간이 그만큼 길어져 좋은 품질의 목화를 생산할 수 있다. 자생지 목화는 아욱과에 속하는 일년초 식물이다. 농촌진흥청에서 90년대초까지 신품종을 육성 보급한 바 있다.

하늘매발톱

이미지
하늘매발톱 (7월 15일) 오늘의 꽃 학 명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영 명 Columbine 꽃 말 부지런 내 용 꽃말처럼 하늘매발톱꽃은 매발톱꽃 중 꽃을 가장 먼저 피운다. 빠른 것은 4월 하순이면 꽃을 피우기 시작하며 꽃잎은 하늘색을 띤다. 우리나라 정원에 가장 많이 이용한다. 심을 때 암석에 붙여심는 게 자람에 유리하며, 바위에 붙여 심으면 한발이 심할 때도 잘 견딘다. 이용 매발톱꽃은 꽃이 크고 특이하면서도 참 아름답다. 화단이나 분화용으로 아주 우수하다. 꽃색과 모양이 다양하며 최근에는 원예종이 많아 매발톱꽃 만으로도 정원을 다양하게 꾸며볼 수 있다. 한번 잘 심어두면 씨앗이 떨어져 나와 금방 포기를 이루므로 쉽게 화단을 조성할 수 있다. 기르기 매발톱꽃은 번식력도 강해 화단이나 분화용 모두 적합하다. 자라는 곳에 따라 키가 40∼80cm정도 자라며, 꽃은 붉은 빛을 띠는 보라색으로 5∼6월에 핀다. 습해나 추위에는 강하지만 더위에 약한 편이다. 씨앗이 떨어져 싹이 잘 나오며 다음해 꽃을 피운다. 포기나누기도 잘 된다. 자생지 매발톱꽃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다. 세계적으로 약 70여 종이 분포하는데, 주로 지구 북반구의 숲이나 산악지역에서 볕이 잘 드는 곳에 난다. 우리나라에도 매발톱꽃, 꽃색이 하늘색인 하늘매발톱, 노란 색인 노랑매발톱꽃(백두산 자생) 등 몇 가지가 자생하고 있다.

매발톱꽃

이미지
매발톱꽃 (7월 14일) 오늘의 꽃 학 명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영 명Columbine 꽃 말보라색 버림받은 애인, 흰색 우둔, 적색 염려 내 용 자생화 중 매발톱꽃만큼 화단, 공원, 길가에 많이 식재되는 종도 드물다. 그만큼 우리랑 친숙하다. 꽃말을 보면 재미있다. 얼마나 바람끼가 심하면 애인으로부터 버림 받을까?. 이 식물의 수정양식을 보면 그럴만하다. 자기꽃가루보다는 다른 개체의 꽃가루를 훨씬 좋아하기 때문이다. 다 나름대로 전략이 있기야 하겠지만 사람 잣대로 보면 비난받을만 하다. 이 용 매발톱꽃은 꽃이 크고 특이하면서도 참 아름답다. 꽃색과 모양이 다양하며 최근에는 원예종도 나와 있어 매발톱꽃 만으로도 정원을 다양하게 꾸며볼 수 있다. 한번 잘 심어두면 씨앗이 떨어져 나와 금방 포기를 이루므로 쉽게 화단을 조성할 수 있다. 종류가 다양하니 정원에 다양한 종을 심어 꽃을 피운 뒤 거기서 씨앗을 받아 뿌려가면서 괜찮은 것을 선발하여 영양번식으로 늘려가면 품종으로 등록도 할수 있어 취미육종 재료로도 훌륭하다. 기르기 매발톱꽃은 번식력이 강하다. 습해나 추위에도 강하며 더위에는 약한 편이다. 씨앗이 떨어져 싹이 잘 나오며 다음해 꽃을 피운다. 포기나누기도 잘 된다. 자라는 곳에 따라 키가 40∼80cm정도 자라며 꽃은 붉은 빛을 띠는 보라색으로 핀다. 자생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이다. 세계적으로 약 70여 종이 분포하는데, 주로 지구 북반구의 숲이나 산악지역에서 볕이 잘 드는 곳에 난다. 우리나라에도 매발톱꽃, 꽃색이 하늘색인 하늘매발톱꽃, 노란색인 노랑매발톱꽃(백두산 자생) 등 몇 가지가 자생하고 있다

왜 권력은 최악의 인간이 잡는가?

이미지

델피니움

이미지
https://m.blog.naver.com/shh21ce-/223511037324

법구경 제13장 자신의 장

이미지

참나리

이미지
참나리 (7월 12일) 오늘의 꽃 학 명 Lilium lancifolium 영 명 Tiger lily 꽃 말 기개 내 용 하늘나리, 땅나리, 중나리..., 이 땅에 자생하는 여러 나리 중에서 진짜 나리라는 뜻으로 붙여진 참나리, 그래서 그런지 나리 중 생장이 우수하고 기골도 장대하다. 참나리는 키도 크지만 꽃도 크고 아름다워 여름철 정원용으로 매우 우수한 식물이다. 이 용 꽃대가 곧고 꽃 모양이 좋아 꽃꽂이용으로도 쓰이지만 주로 정원 등 화단용으로 이용된다. 주택 정원이나 아파트 단지 정원에 반그늘 이상의 햇볕이 드는 곳이나 화단의 경계부에 군락으로 심으면 적색계열의 꽃이라 여름철 주변 녹색과 잘 조화를 이룬다. 알뿌리는 인편으로 식용이나 약용으로도 쓰인다. 중국에는 식용 나리가 훨씬 많다. 기르기 나리 중 참나리에만 주아(잎겨드랑이에 달려있는 까만 영양 눈)가 달려있어, 이 주아에 의해 번식한다. 화단에서는 주아가 떨어져 다시 포기로 자라는데 환경에 따라 2-3년이면 꽃을 피우는 포기가 된다. 땅속줄기인 인경을 떼어 삽목으로 번식하면 쉽게 늘려갈 수 있다. 추위나 더위에는 강하지만 음지에는 약한 편이므로 너무 그늘진 곳만 피한다면 화단 어디서든 잘 기를 수 있다. 나리는 가을에 심는 알뿌리식물로써 알뿌리가 저온을 받아야 잘 개화한다. 가을에 심기 전에 구근 내부를 보면 잎눈이 만들어져 있으며 봄이 되면 땅위로 싹이 나온다.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잎이 20-30매 정도 될 때까지 자라고 나면 꽃눈분화가 시작된다. 자생지 나리류(Lilium 속)는 북반구의 아열대(산간지)부터 아한대에 걸쳐 96종(아시아 59종, 북미 25종, 유럽 12종)이 자생한다. 일본에는 관상가치가 높은 7종을 포함하여 15종이 있고 세계적인 유전자 원산지이기도 하다. 중국, 한국, 시베리아지역에도 관상가치가 높은 것이 많고 화훼로 중요한 나리는 모두 이 지역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참나리, 중나리, 하늘나리, 날개하늘나리, 솔나리, 땅나리, 털중나리, 섬말나리, 말나리, 하늘...

디기탈리스

이미지
https://m.blog.naver.com/shh21ce-/223508735896

원추리

이미지
원추리 (7월 10일) 오늘의 꽃 학 명 Hemerocallis spp. 영 명 Fulvous day lily 꽃 말 기다리는 마음, 하루만의 아름다움 내 용 꽃이 피어 단 하루밖에 가지 않는다는 원추리, 그래서 이름도 Day lily, 하지만 한 포기에서 꽃대와 꽃봉오리가 계속 만들어지므로 포기로 보면 20-30일 정도 꽃을 볼 수 있다. 자생화들이 주변에 많이 쓰이면서 도로변에 많이 심고있는 화종 가운데 하나이다. 그래서 요즘은 자동차로 달리다 보면 어디서든 흔히 볼 수 있다. 이 용 원추리는 예로부터 가정의 장독 뒤나 화단에 심어 관상하거나 꽃꽂이로 이용되어 왔다. 건조나 햇볕에 강하고 분진, 매연 등 공해에도 강해 도로변 관상용으로 요즘은 널리 쓰이고 있다. 이른 봄에 어린 싹을 잘라 ‘넘나물’이라 하여 시장에 나오며, 대형 마켓에 가면 쉽게 구할 수 있다. 기르기 씨앗으로 번식하거나 포기나누기로 늘려간다. 씨앗은 꼬투리가 벌어지기 전에 받아 충실한 것들을 골라 뿌리는 것이 발아가 잘 된다. 포기는 이른 봄에 충실한 눈 3개 정도씩 붙여 나눠 심어주면 된다. 자생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주로 동아시아에 약 20~30종이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왕원추리, 각시원추리 등 약 8종이 자생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개량된 원예품종들이 많이 보급되고 있는데 국내에도 식물원을 중심으로 50여 품종 이상 들어와 있다.

등5ㅏ무

이미지
등나무 (7월 9일) 오늘의 꽃 학 명 Wistaria spp. 영 명 Japanese wisteria 꽃 말 결속 내 용 한 여름 무더위에 도심에서 그늘을 찾다보면 흔히 등나무로 지붕이 잘 덮인 퍼골라 쉼터를 볼 수 있다. 5-6월에 피는 꽃이 늘어지며 내는 향기도 좋아 바람이라도 산들산들 불면 쉼터로써 그만이다. 새로 길을 낸 산 비탈면에 등나무를 심어 바위를 타고 올라가게 하여 억지로 깎인 지면의 흉터를 덮기도 한다. 등, 참등, 자등 등의 이름이 있다. 덩굴을 자세히 보면 오른쪽으로만 감겨 올라간다. 이 용 도심 공원의 정자인 퍼골라용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 자라는 속도가 빨라 곧 천장을 덮고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준다. 생울타리나 주택의 경계부에 심어도 좋다. 음지에 약하고 공해에도 비교적 약한 편이라 자동차가 많이 다니는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추위나 더위에 강해 전국에서 이용할 수 있다. 기르기 씨앗은 가을에 따서 땅속에 묻어두었다가 봄에 꺼내 뿌리면 싹이 잘 나온다. 이른 봄에 새로 나온 삽수를 자르거나 한 여름 습도가 높을 때 줄기를 10cm 길이로 잘라 삽목하면 새 뿌리가 잘 내린다. 봄에 실생에서 나온 대목을 써서 접목하기도 한다. 심는 곳은 햇볕만 잘 드는 곳이면 다 좋다. 이식은 봄이나 가을에 한다. 자생지 등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의 낙엽수이다. 중국, 한국, 일본 및 미국에 10종이 강가나 다소 습한 숲에 자생한다. 흰색 꽃이 피는 흰등도 국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댑싸리

이미지
https://m.blog.naver.com/shh21ce-/223504976587

법구경 늙음의 장

이미지

닭의장풀

이미지
가 내린다. 다소 습하고 그늘진 곳을 좋아하지만 습지나 건조지 모두 잘 견뎌 심을 수 있는 공간범위가 넓다. 자생지 대표적인 일년생 풀로써 닭의장풀과에 속하며 전 세계에 100종류가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키가 좀 작은 좀닭의장풀, 꽃이 흰색인 흰꽃좀닭의장풀이 종종 발견된다.

달맞이꽃

이미지
https://m.blog.naver.com/shh21ce-/223503060341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이미지

나팔꽃

이미지
나팔꽃 (7월 5일) 오늘의 꽃 학 명 Ipomoea spp. 영 명 Morning glory 꽃 말 풋사랑, 덧없는 사랑, 기쁨 내 용 꽃이 영락없는 나팔처럼 생겨 나팔꽃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나팔꽃은 원래 우리나라가 고향은 아니며 오래전 이땅에 귀화된 식물이다. 꽃이 한 여름에 피며 꽃은 흰색, 진한 자색, 빨간색 등 다양하다. 영어이름처럼 아침에 해가 뜨면서 피는 대표적인 식물이다. 나팔꽃은 만개했을 때 보면 힘차고 기쁨에 차 있지만 꽃말처럼 불과 하루만에 피고지는 사랑이니 풋사랑이고 덧없는 사랑이다. 이 용 덩굴성으로 화단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있다. 울타리나 벽에 기대어 심으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 덩굴이 꼬이는 것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분홍색 꽃이 7-8월의 한 여름에 피는데, 꽃이 크고 모양이 나팔이나 깔때기 모양을 하고 있다. 종자는 약용으로 쓰기도 한다. 기르기 봉선화나 맨드라미처럼 씨앗을 직접 받아 뿌려도 발아가 잘 된다. 새로운 품종들이 많이 있으므로 종묘상에서 신품종 씨앗을 사다 뿌리는 것이 좋다. 자생지 인도가 고향이다. 메꽃과의 한해살이 풀이다. 비슷한 것으로 둥근잎나팔꽃이 있다.

큰금계국

이미지
큰금계국 (7월 4일) 오늘의 꽃 학 명 Coreopsis lanceolata 영 명 Lance coleopsis 꽃 말 상쾌한 기분 내 용 한 여름에 고속도로든 국도든 시골길이든 운전하면서 창가를 보면 길가에 노란 코스모스처럼 무리지어 피어있는 꽃이다. 좀더 색이 진하고 꽃이 큰 루드베키아와 함께 심겨지는 것이 보통이다. 꽃이 피면 항상 하늘을 보며 방긋 웃고 있어서 보는 사람 기분을 상쾌하게 해 준다. 이 용 도로변 관상용으로 많이 쓰인다. 꽃이 노란색으로 6∼8월에 피는데 키는 심겨진 곳의 환경에 따라 30cm부터 100cm까지 자라며 줄기가 곧추 선다. 화단용으로 주로 이용되지만 키가 큰 것들은 절화용으로도 쓰이며, 벌들이 좋아하기 때문에 밀원식물로도 이용된다. 기르기 씨앗으로 잘 번식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초가을에 잘 여문 씨앗들을 받아 바로 뿌리거나 냉장고에 두었다 봄에 뿌린다. 개체에 따라 꽃이 빈약하게 핀 것들은 줄기 밑 부분이 목질화되면서 여러해살이처럼 자라기도 한다. 꽃모양이나 꽃수는 당년에 핀 것들이 보기도 좋고 많이 핀다. 일반 가정의 화단에 심을때는 봄이나 가을에 피는 다른 일년초들과 잘 섞어서 뿌리면 일년내내 화단에서 꽃을 관상할 수 있다. 자생지 원래 고향은 북아메리카 남부지역에서 중앙아메리카 지역으로 자생지에 80∼100종 정도가 분포하고 있다. 금계국과 비슷한 것으로 꽃이 더 큰 큰금계국이 있다.

쑥부쟁이

이미지
쑥부쟁이 (7월 3일) 오늘의 꽃 학 명 Aster yomena 영 명 Yomena 꽃 말 평범한 진리 내 용 초여름부터 피기 시작하여 가을이 깊어가도록 꽃을 피워대며 향기까지 내 뿜는다. 꽃 핀 가지들을 보면 언뜻 엉성해 보이기도 하지만 꽃잎을 보면 가지런한 것이 그렇게 질서정연할 수가 없다. 이 용 구절초, 감국과 함께 가을화단용으로 꼭 있어야 할 우리 꽃이다. 종류가 많아 암석원이든 나무 밑이든 땡볕이든 거기에 어울리는 종을 심으면 된다. 눈개쑥부쟁이 같은 것은 키도 작지만 한 포기에서 꽃이 300개 이상이 작은 반원을 형성하며 피어 현관입구에 심어두면 약 한달가까이 가을정취를 느끼기에 그만이다. 기르기 쑥부쟁이류는 씨앗발아가 대체로 잘 된다. 가을에 잘 여문 종자를 받아 두었다 봄에 뿌리면 된다. 이른 봄에 새로 나온 눈이나 작은 포기를 떼어 심어도 잘 자란다. 자생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지구상에 약 250종이 있는데 한해살이인 것, 여러해살이인 것, 관목성인 것도 있다. 우리나라에도 10여 종이 있으며, 벌개미취는 우리나라에만 나는 한국특산종이다.

말발도리

이미지
말발도리 (7월 2일) 오늘의 꽃 학 명 Deutzia spp. 영 명 Korean deutzia 꽃 말 애교 내 용 초여름 산행 길에 바위에 붙어 하얗게 꽃 피운 것들과 종종 만난다. 말발도리 종류들이다. 말발도리는 꽃이 진뒤 달리는 열매가 말발굽에 끼는 편자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름도 당차지만 실제 꽃이 만개했을 때 보면 참 아름답다. 가지가 바람에 날리면 꽃들이 애교를 떠는 듯 사랑스럽다. 말발도리랑 형제뻘 되는 만첩빈도리(꽃이 겹꽃으로 꽃잎이 다닥다닥 붙음)는 가지를 시원스럽게 아래로 늘어뜨려 꽃을 피운다. 이 용 매화말발도리는 키가 작고 꽃 모양이 좋아 화단용으로 적합하다. 특히 암석정원에서 바위틈에 심어두면 아래로 늘어지면서 잘 어울린다. 키가 작아 화분용으로도 좋다. 일본말발도리도 주변에 흔히 이용된다. 기르기 거름기가 많은 곳을 좋아한다. 너무 건조하지 않아야 하며 강한 광선을 좋아한다. 종류에 따라 약간 그늘진 곳에서도 잘 견디는 것들이 있다. 자생지 말발도리는 범의귀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세계적으로 60종이 분포하는데, 히말라야로부터 아시아 동부에 이르기까지 자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빈도리, 만첩빈도리, 애기말발도리, 둥근잎말발도리, 말발도리, 물참대, 바위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등 10여 종(변종)이 자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