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025의 게시물 표시

한남대첩

이미지

우묵사스레피(1월10일 )

이미지
학 명 Eurya emarginata 영 명 Eurya 꽃 말 기억 속에 새기다. 내 용 남해의 세찬 바닷바람에도 잘 견디는 늘 푸른 나무이다. 뒤로 약간 말려들어간 동그랗고 작은 잎도 귀엽지만 열매가 쥐똥같이 생겼다 하여 섬 지방에서는 섬쥐똥나무라고도 부른다. 이 용 전체적인 수형도 아름답고 생장이 빠르며 공해에도 강하지만 음지나 추위에 약한 편이다. 남부의 공단이나 도로변에 조경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남부지역에서는 정원이나 생울타리용으로도 좋은 식물이다. 사스레피나무의 절지는 전국적으로 화환 제작에 이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화환을 만들 때 사스레피나무와 함께 녹색배경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 중의 하나이다. 기르기 씨앗은 가을에 익은 다음 따서 열매의 과육을 제거 후 바로 뿌리거나 땅에 묻었다가 이듬해 뿌린다. 삽목은 4월 하순경에 새로 나온 가지를 꺾꽂이하여 번식한다. 자생지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관목이다. 세계적으로 아시아 동남부 및 태평양 열도를 중심으로 약 70종이 자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제주지역이나 남부해안가에 자생하며, 유사종으로 사스레피나무, 거제도에 나는 섬사스레피나무, 잎이 넓고 두꺼운 떡사스레피나무 등이 있다.

아나나스(1월8일)

이미지
학 명 Ananas spp. 영 명 Variegated pineapple 꽃 말 미래를 즐긴다, 만족 내 용 보통 관엽식물 중 꽃이 피는 것이 드문데, 이 식물은 꽃이 여름에 피는 관엽으로 꽃이나 잎 모양이 모두 좋아 인기를 끈다. 아나나스는 원주민의 말로 파인애플이라고 한다. 이 용 자생지에서는 상당히 큰 식물이며 많은 원예종들이 개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형 분화용으로서 온실 등 실내 관엽식물로 애용되고 있다. 꽃이 장기간 피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혁질의 광택 잎이 보기가 좋아 거실이나 사무실 주변의 장식용으로도 좋다. 기르기 아나나스는 종류가 많고 좋아하는 환경도 다양하지만 대부분 약간 반그늘에서 잘 자란다. 하지만 잎이 단단한 종류는 광선을 충분히 쪼여줘야 고유의 잎색이 나온다. 겨울동안에는 물을 적게 주는 것이 좋으며, 온도는 최저 5∼6℃에서도 버틸 수 있다. 아나나스류는 한번 꽃이 핀 포기에서는 다시 꽃을 피우지 않는다. 뿌리부근에서 나오는 새 포기를 길러야하며 새 포기는 일 년 정도 지나면 다시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자생지 파인애플과에 속하며 남미가 고향인 열대식물로써 상록성이다. 자생지에는 5∼6종의 원종이 분포하는데 해발 1,0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자란다.

스토크(1월7일)

이미지
학 명 Matthiola incana 영 명 Stoke 꽃 말 영원한 아름다움, 사랑의 굴레 내 용 생화로도 향이 좋으나 드라이플라워로 만들어도 향기가 나는 방향성식물이다. 꽃말처럼 이젠 아름다움은 눈에 보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한 듯 하다. 향기까지 생각한다면 오래 기억되는 아름다움이다. 이 용 일년생 초화류로 원예품종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꽃꽂이용으로 상당량 재배되고 있으며 재배품종은 일본에서 육성한 품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꽃은 품종에 따라 여러 가지 색이 있지만 국내에서 재배되는 것은 대부분 흰색계통이다. 일반 가정에서 화단이나 분화용으로 기르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꽃꽂이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기르기 스토크는 원래 저온성 식물이기 때문에 추위에 강한 편으로 생육적온은 주간 15-20℃, 야간 8-10℃이며, 낮에 25℃이상의 온도가 계속되면 꽃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품성이 크게 떨어진다. 현재 재배작형이 충분히 세분화되어 있어서, 수요만 있다면 연중 생산이 가능한 품목이다. 자생지 십자화과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약 55종이 분포한다. 일년생, 다년생인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덩굴성인 것도 있다. 주요 분포지는 서유럽(지중해연안), 남아프리카, 아시아 지역의 평원이다.

파키라(1월6일)

이미지
학 명 Pachira aquatica 영 명 Guiana chestnut, Water chesnut 꽃 말 행운 내 용 공기정화식물도 잘 알려져 있다. 손가락같이 갈라진 잎과 뿌리 윗부분의 줄기가 통통한 모양새가 특이한 이국적인 식물이다. 자생지인 멕시코에서는 교목성으로 자라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화분에 심어 잎을 관상하는 관엽식물로 자리잡고 있다. 이 용 잎은 시원하고 줄기는 매끈하며 특히 줄기 아랫부분은 항아리모양으로 불룩하게 비대되어 모양이 특이하며 보기가 좋아 집안의 거실이나 건물의 실내식물로 잘 어울린다. 현재 이용되는 것은 대형종이 많지만 키가 작은 소형종도 있다. 기르기 전형적인 남방계식물로 추위에 약해 겨울에도 최저 10℃ 이상은 되어야 별탈없이 월동할 수 있다. 보통은 16-30℃정도가 알맞다. 실내라 하더라도 햇볕이 잘 드는 곳이 좋으며 환기만 잘 된다면 습도가 높을수록 잘 자란다. 자생지 물밤나무과에 속하며 원산지인 남미에서는 열매를 식용으로 쓰기도 한다.

월5일)

이미지
학 명 Narcissus spp. 영 명 Daffodil 꽃 말 자만심, 자존심, 자신만을 사랑하다 내 용 수선화의 유래를 보면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미소년 나르시스(나르키소스)가 제 모습에 반하여 죽어 꽃이 되었다하니 그 정도의 자존심이면 꽃이 고개를 들만도 한데 꽃은 늘 땅을 바라보고 있다. 꽃 모양은 은 접시에 금잔이 놓여있는 듯 아름답고 향기도 강하다. 아름답고 똑똑한 것도 좋지만 너무 지나치면 결국 자기도취에 빠져 헤어날 수 없음을 가르쳐 주는 듯 하다. 이 용 추위엔 강한 편으로 전국에서 월동이 가능하지만 꽃은 정원에서 서울 등 중부지역은 4월 이후에 피며, 제주(제주수선)에서는 2월이면 핀다. 음지나 여름철의 더위에는 약하다. 암석정원이나 일반 가정의 이른 봄 화단용으로 잘 어울리며, 꽃이 없을 때 잎 모양도 정연하여 보기가 좋다. 기르기 수 천 개의 원예품종이 개발되어 있으며, 꽃은 노란 색인 것들이 많고 흰색인 것도 있다. 꽃은 자연 상태에서 4월 이전에 피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번식은 열매가 맺히지 않기 때문에 엄마알뿌리에서 이듬해 자연적으로 나온 아가알뿌리를 떼어 증식한다. 가을에 햇볕이 잘 드는 화단에 심으면 이른 봄에 꽃을 관상할 수 있다. 봄에 꽃이 피고나면 잎이 시들면서 말라 없어지고 알뿌리만 남아 여름, 가을을 난 다음 초겨울에 잠이 깨 이른 봄에 다시 잎이 자라고 꽃이 핀다. 자생지 수선화과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약 50종이 분포하는데 알뿌리류가 대부분이지만 숙근성인 것들도 있다. 적응범위가 넓어 해안가로부터 산 중턱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지만 주로 초원지대에 자생한다. 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주요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도 제주에서 자생한다. 수선화는 종에 따라 화형이 다른 것들이 많아 꽃의 모양을 기준으로 Trumpet, Large-cupped, Small-cupped, Double, Triandrus, Cyclamineus 등 총 12개의 형으로 구분한다. 수선화의 영명은 'Daffodil'이다.

소름 돋는다는 반응….다시보기 열풍 왜…?

이미지
https://youtu.be/2IXBEiUDjg8?si=zzXHNeN5gazR78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