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선나무

이미지
미선나무 (3월 25일) 오늘의 꽃 학 명 Abeliophyllum distichum 영 명 White forsythia 꽃 말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내 용 봄을 대표하는 꽃 중 길가를 노랗게 만드는 개나리를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꽃모양은 개나리와 비슷하면서 은은한 향도 있고 가을 열매도 예쁜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그리 흔치 않다. 동화책에 보면 궁중 시녀들이 임금님 옆에서 모양이 동그란 부채를 들고 있는 모습이 있는데, 이 그림에 나오는 부채처럼 생긴 열매를 가진 나무가 바로 미선나무기도 하다. 이 용 미선나무는 키가 크지 않고 꽃 모양이 예뻐 정원의 관상수나 울타리용으로 훌륭하다. 문헌상 미선나무는 ‘조선육도목’이라고 되어있을 만큼 옛날에는 전국에 심겨졌으나 지금은 몇 군데에서만 보호되고 있을 뿐이다. 관상가치가 뛰어난 식물을 보호육성해서 널리 알리는 것도 우리나라 위상을 높이는 일이다. 기르기 미선나무는 추위나 맹아력은 강하지만 음지나 공해에는 약한 편이다. 햇볕이 잘 들고 물 빠짐이 잘 되는 곳이 좋다. 삽목으로 번식이 용이하며 이식력도 강하다. 번식은 가을에 씨앗을 뿌려주거나 3월 또는 6월에 줄기를 삽목하며 뿌리를 내린다. 자생지 물푸레나무과의 낙엽활엽관목이다. 충북 괴산과 진천지역이 자생지로 법으로 보호되고 있다. 유사한 종으로 미선나무에서 유래된 분홍미선나무를 제외하면 세계적으로 1종 1속밖에 없는 희귀종으로 우리나라가 유일한 자생지다.

플라톤의 가르침 #친구 #기대 #우정 #상대 #예의

이미지
플라톤의 가르침 #친구 #기대 #우정 #상대 #예의

보건행정 서비스

https://m.blog.naver.com/shh21ce-/223393406418

플라톤 이야기 #사랑 #사랑 #사랑

이미지
플라톤 이야기 #사랑 #사랑 #사랑

노루귀

이미지
노루귀 (3월 24일) 오늘의 꽃 학 학 명 Hepatica asiatica 영 명 Asian liverleaf 꽃 말 위로, 인내 내 용 숲에서 앞만 보고 가는 사람은 볼 수 없는 꽃이다. 노루귀는 키가 작고 바닥에 바짝 붙어있기 때문이다. 가끔은 아래도 살피고 가야 곱디고운 색감의 작은 꽃들을 관찰할 수 있다. 하얀 털을 뒤집어쓰고 꽃대가 나오면 꽃잎과도 같은 꽃이 피어나고 그 꽃이 질 무렵 잎이 나오는데 말려있는 모양이 노루위 귀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이 용 노루귀는 추위에 강해 전국 어디든지 화단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꽃이 지고난 뒤 잎 모양도 예뻐 분화용으로도 훌륭한 소재이다. 노루귀 중 울릉도에 나는 섬노루귀는 잎에 광택이 있어 관엽식물로 특히 유리하다. 크기가 작아 테라리움 소재로도 이용된다. 기르기 씨앗으로도 번식되지만 파종후 3년이 지나야 꽃을 볼 수가 있어 보통은 포기나누기로 번식한다. 적당히 습기가 있는 숲속이나 나무 밑이 자생지라는 점을 감안해 여름철에는 시원하게 그늘을 만들어줘야 한다. 포기나누기는 꽃이 진 다음에 눈을 3-4개씩 붙여 자른다. 꽃색의 변이가 많아 씨앗을 뿌려 꽃을 관찰하는 것도 좋은 취미가 될 수 있다. 자생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적응력이 좋아 사는 곳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 꽃색도 어느 것에 뒤지지 않고 잎 모양도 좋다.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씨앗을 통해 나온 개체들은 변이가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이다. 실제 자생지를 보면 형태가 같은 것들은 상당히 드물다. 이것은 노루귀가 특히 타식율(타가수정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가르침 #어리석음 #삶 #돼지 #죽음 #인간 #선택

이미지
소크라테스의 가르침 #어리석음 #삶 #돼지 #죽음 #인간 #선택

삼지닥나무

이미지
삼지닥나무 (3월 23일) 오늘의 꽃 학 명 Edgeworthia spp. 영 명 Oriental paper bush 꽃 말 당신을 맞이합니다. 내 용 한지의 원료식물로 닥나무, 삼지닥나무, 황촉규, 산뽕나무 등이 있는데, 이들 중 삼지닥나무는 일본에서 화지를 만드는데 주로 쓰인다고 한다. 봄에 잎이 나기 전 꽃이 먼저 피는데 벌집을 매단듯한 모양의 노란 꽃이 예쁘고 향도 달콤하다. 나뭇가지가 셋으로 갈라진다 하여 삼지닥나무라 불린다. 이 용 남부지역에서는 도로변 또는 정원수로 이용된다. 개화기 때 보면 키가 크지 않으면서 수형이 둥근 모양으로 보기 좋다. 기르기 햇볕은 완전 양지보다는 반그늘 정도가 적합하다. 방향은 북사면이 좋고 물이 잘 빠지는 사질토양이 좋다. 공해에도 약하고 추위에 약해 중부 이북지방에서는 바깥에서 월동이 어렵다. 자생지 팥꽃나무과의 낙엽활엽수 관목이다. 국내에서 자생지는 확인된 바 없고 전라도, 경상도 및 제주도에 심고 있다